본문 바로가기

경제지식

주식투자 기초용어. 경기선행지수(CLI)란 무엇일까?

미래를 예측해보는 경제지표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299686625866336&mediaCodeNo=257&OutLnkChk=Y

 

OECD 경기선행지수 세달 연속 상승…"선행지표로 해석에 한계"

△OECD CLI 추이. (자료=OECD)[이데일리 원다연 기자] OECD의 경기선행지수가(CLI)가 3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미국, 독일 등 주요국의 개선세가 두드러졌지만 여전히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

www.edaily.co.kr

주식 투자시 가장 고려해야 할 점 중하나는 앞으로 경기가 어떻게 될것인지 입니다.

경기가 전반적으로 좋아질 예상이라면 주식이 상승할 확률이 높겠죠.

반대로 세계경제가 불투명해지면 주식시장이 하락할 확률이 높습니다.

 

그래서 OECD에서는 회원국과 그외 몇개국을 대상으로 매월 경기선행지수란 것을 발표하여 세계경제의 팽창과 수축을

지켜보고 있습니다.

 

OECD에서는 업황, 코스피 지수, 재고순환지표, 재고량, 장단기 금리차(3년물-1일물) 금리 6가지 항목을 조사하여 통계를 작성 합니다. 이뿐만 아니라 우리나라통계청 같은 곳에서도 자체적인 기준으로 경기선행지수를 조사 한뒤 매달 발표합니다.

 

 

경기 선행지수가 100이라면 긍정적인 신호일까?

주로 경기선행지수가 100이상이면 경기가 6~9개월 후에 팽창 할 것이라고 생각. 100이하이면 수축한다고 판단합니다.

물론 100이하라고 해도 전 월보다 혹은, 전전월보다 높아지고 있다면 지수가 점점 올라고 있다면 경기가 바닥에서 회복되고 있다고도 볼 수 있겠습니다.

반대로 저번달이 100 이상이었다가 조금 더 떨어지면, 경기가 하락국면이라고 판단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경기선행지수를 볼 때는 해당월 뿐만 아니라, 최대한 많은 월 수를 지켜보면 좀 더 확실한

판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아래사이트에서 각 oecd국가의 경기 선행지수를 알 수 있습니다.

 

http://stats.oecd.org/

 

OECD Statistics

 

stats.oecd.org

우리나라에서 자체 조사하는 경기선행지수는?

매달 OECD발표 지수 말고도 통계청에서 경기선행지수를 측정합니다.

다만 OECD가 발표하는 것과는 조금 다른 기준으로 총 8가지를 측정하여 발표합니다.

아래 조사 항목을 각 보시고. 경제 뉴스가 나올 때 마다 각 수치가 가지고 있는 함의를 파악하신다면

투자에 큰 도움이 될거 같습니다!

 

1. 재고순환지표 : 각 기업의 재고가 늘어나고 있는지, 잘 소비되고 있는지 재고증가율을 통해 측정

 

2.소비자기대지수 : 말그대로 소비자가 6개월 뒤 상황을 얼마나 낙관하고 있는지 살표보는 지표.2200가구의 경기, 소비지출 전망, 생활현편, 소비지출 전망을 평균내 계산

 

3. 기계류 내수출하지수 : 기계수주액이 증가하면 기업의 상황이 좋아지고, 경기도 좋아질 확률이 높으니.

기계수주액을 살펴보는 지표.

 

4. 건설수주액 : 국내 건설회사에서 수주한 금액. 건설수주액이 늘수록 경기 상황이 좋아질 확률이 높음

 

5. 수출입 물가비율 : 수출입상품의 가격동향을 파악해. 전에 비해 증감을 살펴보는 지표

수입물가지수/수입물가지수*100

 

6. 구인구직비율 : 일자리를 구하려는 사람들과 기업에서 신규직원을 뽑으려는 비율

 

7.코스피지수 : 주가 종합지수. 주가는 보통 경기보다 6~9개월 앞서가기에 해당 지표에 포함

 

8. 장단기 금리차 : 장기금리-단기금리를 뺀수치. 장단기 금리차가 줄어들 경우 경기가 나빠질 확률이 높다고

시장이 판단하기 때문에 포함. 반면 금리차가 늘경우 좋아질 확률이 높다고 시장에서는 판단.

 

 

 

 

여기까지 경기선행지수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경기선행지수를 통해 투자 시 어떤 경기 사이클로 들어서고 있는지 스스로 판단하여

투자를 결정하면 좋을거 같네요.

 

아래 사이트는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경기선행지수의 변화를 알 수 있는 곳입니다

해당 사이트에서 지금까지 어떻게 변동 되어왔고. 코스피의 변화가 어떠한지

공부해보면 좋을거 같네요ㅎㅎ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C8013&conn_path=I2

 

KOSIS

 

kosis.kr